2010년 4월 20일 화요일

100 년에 몇초인지 아시는분 좀 알려주세요

100년*365일*24시간*3600초 = 3,153,600,000인데요.

단 윤년이 문제군요.

윤년은 4로 나누어지는 해인데, 아닐때가 있습니다.
100으로 나누어지면 윤년이 아닙니다.
그런데 400으로 나누어지면 윤년으로 인정합니다.
그러니 400년동안에는 윤년이 97번이 됩니다.

100년이라면 평균 윤년이 24번일때가 더 많습니다


그러면
윤년이 24번 일때는
3153600000 + 86400(하루)* 24 = 3,155,673,600 초

윤년이 25번 일때는
3153600000 + 86400(하루)* 25 = 3,155,760,000 초

그리고 가끔 시간을 변경하니 위에 적은 숫자도 정답은 아닙니다.

태양년을 기준으로 하면 3,155,692,597 초가 됩니다. 이것때문에 윤초라는 것이 도입되어서
윤초라는 것이 몇년마다 1초를 더하거나 빼거나 합니다.
최근의 윤초로는 99년 1월1일 1초를 더한적이 있습니다.



[시간 기준에 추가]
지구가 태양의 주위를 도는 1년의 기준에는 항성년,근점년,태양년 세가지가 있습니다.
이중에서 우리가 쓰는 1년은 1태양년을 말합니다. 이 기준을 적용하면 수학적인 1년과 물리적인 1년의
차이가 나옵니다.

1초의 기준은 세슘원자가 9,192,631,770번 진동하는 시간입니다.
우리가 말하는 1일은 지구가 자전을 한번하는 시간입니다. 그런데 지구의 공전때문에 하루에 1도씩
모자랍 니다. 즉 359도 만 도는 것을 우리는 1일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1일은 23시간 56분정도 된다고 합니다.


아 래는 엠파스 백과사전에서 가져왔습니다.

[태양년 또는 회귀년]
회귀년(回歸年)이라고도 한다. 세차(歲差)에 의해 조금씩 움직이는 평균춘분점에서 잰 태양의 황경(黃經:光行差와 章動의 영향을 받지 않은 값)이 360°가 되는 시간을 말한다. 평균 태양일로 나타내면 365.24219878…일(1900년 1월 0일, 즉 세계시 12시의 값)로, 이 길이는 춘분점의 이동속도 때문에 100년에 약 0.5초씩 짧아진다

[항성년]
태양이 천구(天球)를 일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1항성년은, 춘분점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해마다 조금씩 움직이기 때문에 춘분점을 기준으로 측정되는 1태양년(太陽年)보다 조금 길어서, 약 365.25636042일(기준연도 1900년)이다. 1태양년은 태양을 기준으로 지구가 1공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회귀년이라고도 하는데, 그 값은 365.24219878일이며, 지구의 세차(歲差)운동 때문에 100년에 약 0.5초씩 짧아지고 있다

[근점년]
근일점의 위치가 일정하다면, 근점년의 길이는 항성년(恒星年)과 같아진다. 그러나 지구의 근일점은 매년 11.63"씩 황도를 따라 진행하므로, 근점년은 항성년보다 약 0.00328일이 길어, 365.25964일이 된다.

2010년 4월 10일 토요일

플래시 액션스크립트 카페...

활동을 하자니 너무
신경 쓰일것 같아서....
음.... 딱 삼년정도는
한곳에 집중하자고 생각 했는데
요즘 좀 외롭긴 하구만 크크
뭐 일할땐 별로 그런게 없긴 하지만서도....

2010년 4월 5일 월요일

winscp ftp 접속 도구

다운은 아래서~
http://winscp.net/eng/download.php

한글 패치는 아래서 Korea 꺼 받으면 됨~
http://winscp.net/eng/translations.php

받아서 C:\Program Files\WinSCP 여기에 풀면 됨!